- Erlang
전화통화량을 측정한 수치를 말한다. 호량은 차원이 없고, 1을 단위로 잡아 이것을 1얼랑이라 한다. 즉 1회선을 1시간 관측하였을 때 1시간 전부가 사용 중인 호량이다. 또는 임의의 회선군을 임의의 시각에 관측하였을 때 5회선만 사용 중이면 그 시각의 호량은 5얼랑이다. Erlang을 계산할 때 콜센터의 전화량이 한 시간동안 12.35erlang이면 대략 평균적으로12개의 중계회선이 운용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사실로부터 운용에 투여할 중계회선의 숫자를 알 수 있게 된다. 트래픽 이론의 시조 A.K. Erlang의 이름을 딴 것으로, 전에는 트래픽 단위(traffic unit)라 하고 T.U.로 나타냈다.
- 얼랑의 B 공식 (Erlang B formula)
대기 이론 또는 전화 소통 공학에서, 고객이 포아송 분포에 따라 시스템에 도착한다고 할 때 고객이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확률을 규정한 공식이다. 얼랑 손실 공식(Erlang loss formula)이라고도 한다. 이때의 시스템은 고객의 서비스 요청을 받았을 때 서비스 창구가 모두 통화 상태일 때는 단순히 서비스 요청을 거절한다. 예를 들면, 고객이 공중전화를 걸 때 자신이 원하는 수신국이 모두 통화 중일 경우 다시 다이얼을 돌려야 한다. 이때 고객이 다이얼을 돌려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확률을 규정한 공식을 얼랑의 B 공식이라고 한다.
- 얼랑의 C 공식 (Erlang C formula)
대기 이론 또는 전화 소통 공학에서, 고객이 푸아송 분포에 따라 시스템에 도착한다고 할 때 고객이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확률을 규정한 공식이다. 얼랑 지연 공식(Erlang delay formula)이라고도 한다. 이때의 시스템은 고객의 서비스 요청을 받았을 때 서비스 창구가 모두 통화 중일 때는 이 고객을 대기열에 기억시키고 순서대로 서비스를 해 준다.
★ 참고 사이트
얼랑 계산기 - http://www.erlang.com/calculator/erlb/
얼랑에 관한 설명 - http://www.stuffsoftware.com/trafficfinder.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