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mysql-5.0.45 압축풀기
# tar xzvf mysql-5.0.45.tar.gz
2. 보안을 위한 사용자와 그룹 추가
# goupadd mysql
# useradd -g mysql mysql
# useradd -g mysql mysql
3. 환경설정
# ./configure --prefix=/usr/local/mysql (설치 디렉토리경로 지정) --localstatedir=/usr/local/mysql/data (데이버베이스 생성 파일들이 저장될 경로)
4. 환경설정이 끝나면 컴파일
# make # make install
5. 설정파일 복사 : make install이 끝난 후 설정파일을 /etc/
로 복사
# cp /usr/local/mysql-5.0.45/share/mysql/my-medium.cnf /etc/my.cnf
6. 기본 DB 생성
# /usr/local/mysql/bin/mysql_install_db 또는
# ./script/mysql_install_db
주의 : 한번만 실행 할 것
# ./script/mysql_install_db
주의 : 한번만 실행 할 것
7. 디렉토리 소유권한 주기
# chown -R root /usr/local/mysql # chown -R mysql /usr/local/mysql/data # chgrp -R mysql /usr/local/mysql
8. mysql 데몬 실행 & 서버 시작
# ./mysqld_safe --user=mysql &
9. mysql 버전 확인
# ./mysqldadmin version
10. 비밀번호 생성 - 필요시에 설정할것
# ./mysql -u root mysql mysql> use mysql; Database changed mysql> update user set password=password('xxxx') where user='root'; query OK mysql> delete from user where usr=; mysql> fluch privileges;
11. mysql 서버 중지
# ./mysqladmin -u root -p shutdown
12. mysql 서버 접속
# ./mysql -p (비밀번호 설정했을 시에 -p옵션)
13. mysql 자동시작 설정(부팅과 동시에 mysql서버 시작)
# vi /etc/rc.d/rc.local 파일 오픈한 뒤에 한줄 삽입 : /bin/sh -c 'cd /usr/local/mysql ; ./bin/mysqld_safe &' 하고 저장
728x90
'Study(아카이브) > FlashMemory&DB' 카테고리의 다른 글
PLD(Programmable Logic Device) (0) | 2009.06.08 |
---|---|
객체 기반 데이터베이스 (0) | 2009.05.14 |
Dbt2 Benchmark 설치 (21) | 2009.03.24 |
DB 응용특강 실습 #2 (2) | 2008.09.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