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Programming (13)
infatuation
암호화 알고리즘은 암호화하는데 사용되는 키(key)분배 방식에 따라서 다음과 같이 암호화 기법을 분류할 수 있다. 1. 대칭키 암호화 대칭키 암호화 방식은 하나의 키를 사용하여 암호화와 복호화를 진행하는 방법이다. 즉, 원문 메세지를 미리 약속된 키를 이용해서 암호화하고 암호화된 문장을 수신자에게 전송하고 수신자는 미리 약속된 그 키를 이용해서 암호화된 메시지를 복호화해서 원문 메시지를 확인하는 방법을 말한다. 대표적인 알고리즘에는 DES, 3DES, SEED 등이 있다. 대칭키 암호화 방식은 송신자와 수신자가 암호화에 사용된 키만 공유하면 손쉽게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대칭키가 외부에 유출되었을 경우에는 안정성을 보장받지 못하며 이러한 대칭키를 안전하게 관리하기 위해서 많은 비용과 노력이 필요..
C언어의 키워드로 설명됐었던 extern, static, auto, register 등은 C에서 메모리를 저장하는 지정자 중 하나이다. 그 중 앞의 4가지는 기억 부류 지정자로 이 키워드들에 의해 데이터가 저장될 메모리의 영역이 결정된다. 결정된 메모리의 영역에 따라 데이터의 초기화와 Scope, Lifetime등이 달라진다. 그리고 타입한정자로 분류되는 const, volatile가 있다. - 기억 분류 지정자: extern, static, auto, register - 타입한정자: const, volatile extern - 다른 모듈의 전역 변수나 함수를 사용하겠다는 선언을 명시할 때 사용한다. 변수는 extern 키워드를 지정해줘야 하며 함수는 생략이 가능하다. - 현재 파일에서는 선언되지 않았기..
namespace는 약어(acronym)로 변환하지 않은 XML 관련 개념 중 하나로, namespace는 그것의 목적을 설명하는 이름을 갖는 요소(element)의 접두어(prefix)와 URI사이의 매핑(mapping)이다. 왜 Namespace를 사용하는가 XML의 장점 중 하나는 누구나 자유롭게 태그를 정의해서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로 인해 분명 중복된 태그가 발생할 수 있다. XML의 문제점 2)XML 태그의 범람, 2)의미가 불분명한 중복된 태그 namespace의 충돌을 피하고 파서가 충돌을 해결하는 데이터 구조를 정의할 때 이 매핑을 사용한다. 태그 이름의 모호성으로 충돌이 발생할 경우 namespace를 사용하여 이름을 제한할 수 있다. namespace 문제를 해결하기 위..
Collection Framework Java에서 사용하는 Data 저장방법에는 2가지가 있다. Collection 과 Map 이 중 Collection은 간단히 말하면 객체들의 모임이라 할 수 있다. 표준화된 자료구조 중 하나이다. 다수의 데이터를 쉽게 처리할 수 있는 표준화 된 방법을 제공하는 클래스들을 모아둔 것을 Collection Framework라 하고 Collection은 Set과 List의 공통 부분을 뽑아서 새로운 인터페이스로 정의해 놓은 것이다. 하지만 Map은 전혀 다른 형태로 데이터를 다루기 때문에 같은 상속 계층도에서 포함되지 못했다. 1) Set 은 순서를 유지하지 않는 데이터의 집합으로 데이터의 중복을 허용하지 않는다. - 구현 클래스 : HashSet, TreeSet 등 2)..
Objective-C는 C와는 다른 몇가지 타입을 사용함. - id는 타입과 관계없이 객체를 가리킨다. - BOOL은 char와 형식은 같지만 불리언 값으로 쓰인다. - YES는 1이다. - NO는 0이다. - IBOutlet은 아무것도 하지 않는 매크로 : 인터페이스 빌더가 .h 파일에서 클래스 선언을 읽을 때 클래스 선언을 인터페이스 빌더에 인식시키는 키워드임. - IBAction은 void와 같음.(인터페이스 빌더에서 사용) - nil은 NULL과 같다. 객체를 가리키는 포인터로 NULL대신 nil사용.
JDK1.5가 발표되면서 언어 자체의 기본 문법적인 부분에서 몇가지 기능이 추가됐다. Generics는 Collection Framework와 관련된 기능으로 Collection에 저장하는 객체의 타입을 컴파일시에 체크하기 때문에 객체의 타입 안정성을 높이고 꺼낼 때는 자동으로 형변환해주기 때문에 편리하다. 참고) 타입안정성을 높인다는 것은 의도하지 않은 타입의 객체를 저장하는 것을 막고, 저장된 객체를 꺼내올 때 원래의 타입과 다른 타입으로 형변환되어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막아준다는 뜻 Collection에 저장할 객체의 타입을 지정하기 위해 아래와 같이 한다. - Collection에 저장할 수 있는 객체는 지정한 타입의 객체뿐이다. Collection Class = new Collection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