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영체제가 있는 경우의 main() 호출과정
C코드를 컴파일하면 실행파일이 생성 >> 생성된 실행 파일은 하드디스크(HDD)에 저장 실행파일 시작 >> 실행 파일의 헤더를 읽어서 실행 파일의 종류를 파악 & 사용할 핸들러를 결정함 * 핸들러 : 각 섹션에 대한 정보를 해석, 필요한 데이터들을 RAM에 로드 프로그램 코드와 상수가 있는 Text 세션 >> Text 세그먼트로 초기화된 데이터가 있는 data 세션 >> data 세그먼트로 로드 오브젝트 파일은 코드나 데이터의 종류 별로 영역을 나누어 관리 >> 이 영역을 섹션이라고 함 프로그램이 실행될 때는 실행 가능한 오브젝트 파일의 섹션들이 RAM에 로드 됨 이때 RAM에 로드된 각 메모리 영역을 세그먼트라고 함. Data 세그먼트를 할당한 다음 bss세그먼트를 할당 초기화되지 않은 전역 데이터들은..
Study(아카이브)/OS&Linux
2010. 11. 18. 17: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