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기획자는 왜 ‘개발자 출신’이 잘 나갈까?
기획자는 사라지지 않습니다.
다만, 기술을 이해하는 방식으로 진화하고 있을 뿐입니다.
1. 기획자와 개발자의 경계는 점점 흐려지고 있습니다
과거에는 '기획자', '개발자', '디자이너'의 역할이 비교적 명확하게 나뉘어 있었습니다.
하지만 오늘날의 디지털 업무 환경에서는 이들 직군 간의 경계가 점점 모호해지고 있습니다.
특히 빠르게 변화하는 스타트업, IT 기반 기업에서는 기획자의 역할이 단순한 문서 작성에 그치지 않습니다.
제품의 구조를 이해하고, 기술적인 제약을 고려하며, 실제 구현까지 염두에 둔 실행 기반 설계자가 요구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환경 속에서 개발자 출신 기획자는 기술과 기획을 모두 이해하는 인재로 더욱 주목받고 있습니다.
2. 개발자 출신 기획자가 가진 핵심 역량 3가지
① 구조적 사고와 기술 공감 능력
개발 백그라운드를 가진 기획자는 문제를 '구현 가능성'과 '데이터 흐름'의 관점에서 바라봅니다.
기능 하나를 설계할 때, 단순히 “이런 기능이 필요하다”가 아니라 “이 기능은 어떤 API로 처리할 수 있고, 데이터는 어떤 방식으로 저장되어야 하며, 어디에서 병목이 발생할 수 있는지”를 함께 고려합니다.
이러한 사고는 프로젝트 일정 산정, 기술팀과의 커뮤니케이션, 요구사항 정리 등 실제 업무 전반에서 매우 큰 차이를 만들어냅니다.
② 협업에 강한 커뮤니케이션 브릿지 역할
기획자는 보통 개발자와 디자이너 사이에서 양측의 언어를 번역하는 역할을 맡습니다.
하지만 개발자 출신 기획자는 기술의 언어를 본인의 경험으로 이해하고 있기 때문에 의도와 현실 사이의 간극을 좁히는 데 능숙합니다.
기술팀과의 논의에서도 단순 요청이 아닌 '대안 제시'가 가능하여 더욱 신뢰받는 PM으로 성장할 수 있습니다.
③ 도구 친화력과 프로세스 설계 능력
최근 기획자에게 필요한 역량 중 하나는 '툴셋 활용 능력'입니다.
Make, Notion, ChatGPT, Zapier 같은 자동화 도구나 협업툴은 업무 생산성을 높이는 데 큰 기여를 합니다.
개발자 출신 기획자는 새로운 기술과 도구를 빠르게 습득하고 응용할 수 있는 강점을 갖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사내 프로세스를 개선하거나, 반복 업무를 자동화하여 팀 전체의 효율을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습니다.
3. 채용 시장은 지금 ‘Tech Planner’를 찾고 있습니다
요즘 채용 공고에서 자주 등장하는 키워드들을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 API 연동 및 사용 경험
- 데이터 구조 및 흐름 이해
- AI·SaaS 서비스에 대한 기술적 감각
- Notion 기반의 설계 문서 작성 능력
이러한 항목들은 단순한 기획 역량만으로는 충족하기 어려운 부분입니다.
기술과 기획을 모두 이해할 수 있는 인재, 즉 Tech-savvy Planner(기술 이해도가 높은 기획자)가 주목받는 이유입니다.
PO(Product Owner), Technical PM, 테크기획자 등 직함은 다양해지고 있지만 공통적으로 ‘기술을 이해하는 기획자’를 원한다는 점은 변하지 않고 있습니다.
4. 나만의 브랜딩 전략: ‘기획자’가 아닌 ‘설계자’로
개발자 출신 기획자라면 자신의 전문성을 ‘기획서 작성자’가 아닌 ‘문제를 해결하고 구조화하는 사람’으로 브랜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력서나 포트폴리오에는 단순 업무 목록이 아닌, 기술과 기획을 연결해 낸 결과물 중심으로 스토리텔링을 구성해 보세요.
또한 블로그, 링크드인 등 외부 채널에서는 기술 기반의 업무 사례나 협업 과정에서의 인사이트를 콘텐츠로 발행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코드는 못 짜더라도, 기술 흐름은 설계할 수 있습니다.”
이 한 문장이 나를 설명할 수 있도록 브랜딩을 구성해 보시기 바랍니다.
5. 결론: 기획은 사라지지 않습니다. 다만, 진화할 뿐입니다
기획자의 역할은 시대와 기술의 변화에 따라 계속해서 바뀌고 있습니다.
하지만 본질은 동일합니다.
문제를 정의하고, 해법을 설계하며, 팀이 나아갈 방향을 정리하는 것.
이제는 그 해법이 ‘기술’일 가능성이 높아졌을 뿐입니다.
그리고 이 흐름 속에서 개발자 출신 기획자, 또는 기술을 이해하는 기획자는 자연스럽게 중심에 서게 됩니다.
직함은 기획자지만,
일하는 방식은 기술 설계자처럼
지금 가장 주목받는 기획자는, 개발을 이해하는 사람입니다.
'기획자의 실무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SEO란 무엇인가? 초보자도 바로 이해하는 검색 최적화 기본 가이드 (1) | 2025.04.24 |
---|---|
Notion AI로 기획서와 보고서 10분 만에 완성하는 방법 (0) | 2025.04.22 |
기획자가 알아야 할 데이터 분석 기본: 실무에 바로 적용하는 핵심 가이드 (0) | 2025.04.20 |
브랜드 기획자 필수 AI 툴 TOP5 | 기획서, 슬라이드, 영상까지 자동화 (1) | 2025.04.16 |